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료 폰트의 라이선스 체크리스트 (실전 가이드)

by 아름답도록 2025. 7. 8.
반응형

무료 폰트를 사용하는 디자이너와 콘텐츠 제작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폰트의 ‘상업적 이용 가능 여부’와 ‘라이선스 조건’에 대한 이해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무료 폰트를 사용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라이선스 체크리스트를 실제 예시와 함께 안내합니다.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전형 가이드입니다.


1. 상업적 이용 가능한지 반드시 확인하자


무료라고 해서 모두 상업적으로 쓸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개인용 무료, 상업용 유료’로 나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다운로드 전에 ‘라이선스 상세 조건’을 확인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배포 사이트에서 “개인용 무료, 상업용 금지”라고 적혀 있다면 블로그, 유튜브, 쇼핑몰 등 어떤 수익형 프로젝트에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반대로 “전용 프로그램 제외 모든 상업적 사용 가능”이라는 문구는 디자인, 영상, 출판, 웹 등 다양한 환경에서 쓸 수 있다는 뜻입니다.

Google Fonts, 네이버 나눔폰트, 산돌 무료 라이선스 등 대표적인 상업 가능 폰트 리스트도 따로 체크해두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2. 수정 가능 여부도 중요한 요소

폰트를 그대로 쓰지 않고 수정해서 사용하고 싶을 때, “수정 허용 여부”도 매우 중요합니다. 일부 라이선스는 상업적 사용을 허용하면서도 폰트 파일의 수정이나 변형은 금지합니다. 반대로 OFL(Open Font License)처럼 수정, 재배포까지 허용하는 폰트도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Google Fonts에서 배포되는 대부분의 폰트는 수정·가공이 자유로운 경우가 많아 브랜딩 프로젝트나 웹사이트 개발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하지만 국내 배포처 중 일부는 ‘비가공 조건’을 명시하고 있으니, 폰트를 직접 편집하려는 경우 라이선스를 꼼꼼히 봐야 합니다.

활자 사진


3. 출처 명시 여부와 사용 범위 확인

출처를 명시해야 하는 폰트도 있습니다.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라이선스(CC-BY)처럼 ‘작가명을 반드시 남겨야 하는’ 조건이 있을 경우, 광고, 인쇄물, 유튜브 썸네일 등 모든 매체에서 출처를 남겨야 합니다.


또한, 사용 범위가 명확히 정해진 폰트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콘텐츠에만 사용 가능, 인쇄물 불가” 또는 “웹사이트에는 사용 불가, 영상에만 허용” 같은 조건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놓치면 나중에 법적 분쟁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므로, 항상 PDF나 캡처 형태로 라이선스 조건을 보관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무료 폰트라도 무조건 사용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상업적 이용, 수정 가능 여부, 출처 표기 조건 등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사용법입니다. 본문에서 소개한 체크리스트를 실무에 적용한다면, 저작권 걱정 없이 안정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 프로젝트부터는 꼭 라이선스를 확인하고 시작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