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디자이너6

직장인을 위한 생산성 앱 추천 BEST 10 (업무관리, 시간절약, 협업툴) 일 잘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도구’를 잘 활용한다는 점입니다.반복되는 업무에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면 지금이 바로 생산성 앱을 활용할 때!이번 글에서는 직장인들이 실무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생산성 앱 10가지를 소개합니다. 1. Notion – 올인원 정보 정리 도구문서, 할 일 목록, 캘린더, 데이터베이스까지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는 노션은팀과 개인 모두를 위한 디지털 작업 공간입니다.특히 템플릿 활용이나 위키 구성에 강해, 반복적인 문서작업을 줄이고 협업 효율을 높여줍니다.웹/앱 어디서든 동기화가 가능해 출퇴근 중에도 업무 내용을 정리할 수 있어요.요즘은 UX디자이너나 마케터들도 포트폴리오 및 회의록을 위해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2. Trello – 시각화된 프로젝트 보드카드 형식으로 할 일을 .. 2025. 7. 16.
UX/UI란? (UX, UI, 차이점) 디지털 시대의 디자인에서 빠질 수 없는 용어, 바로 UX와 UI입니다.웹사이트, 앱, 제품 디자인 전반에서 UX/UI라는 개념은 필수가 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이 두 개념을 혼동하거나 막연하게만 이해하고 있죠.이번 글에서는 UX와 UI가 각각 어떤 의미인지, 그리고 이 둘이 어떻게 협력하며 사용자 경험을 결정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UX란 무엇인가요? (UX)UX는 ‘User Experience’, 즉 사용자 경험을 의미합니다.단순한 인터페이스가 아니라, 사용자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총체적인 경험 전반을 아우르죠.예를 들어, 어떤 쇼핑몰 앱을 사용할 때화면이 빠르게 전환되고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으며결제 과정이 복잡하지 않다면그건 좋은 UX를 가진 앱이라고 할.. 2025. 7. 15.
아날로그 감성 vs 디지털 감성 (레트로, 테크놀로지, 디자인무드) 최근 디자인 트렌드는 두 가지 큰 흐름으로 나뉘고 있습니다. 바로 ‘아날로그 감성’과 ‘디지털 감성’입니다. 이 두 감성은 단순한 스타일을 넘어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사용자 경험(UX) 전반에 깊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많은 디자이너들이 이 사이에서 최적의 밸런스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각 감성의 핵심 특징과 활용 예시, 그리고 실무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아날로그 감성: 따뜻함과 감성적 몰입이 주는 힘‘아날로그 감성’은 단순히 복고풍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이는 기술 이전의 시대에서 느낄 수 있었던 인간적인 따뜻함과 감성적 연결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접근 방식입니다. 요즘 많은 브랜드들이 이 감성을 활용해 사용자와 더 깊은 정서적 교감을 유도하고 있습니다.예를 .. 2025. 7. 15.
플랫 vs 뉴모피즘 vs 글래스모피즘 (디자인 스타일 비교) 디지털 디자인에서 스타일은 단순한 외형 그 이상입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사용성, 심지어는 감성까지도 좌우하죠. 본 글에서는 현대 UI/UX 디자인에서 자주 언급되는 세 가지 대표적 시각 스타일인 플랫 디자인, 뉴모피즘, 글래스모피즘을 비교 분석합니다. 각 디자인이 가지는 철학과 시각적 특징, 실제 활용사례를 알아보고 어떤 환경과 프로젝트에 적합한지 실무자의 시선에서 정리해드립니다. 플랫 디자인: 미니멀리즘의 강력한 상징플랫 디자인은 단순함과 명확한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한 스타일로, 2013년 이후 iOS7의 등장과 함께 본격적으로 주류가 되었습니다. 그림자, 그라디언트, 입체 효과를 최소화하고, 선명한 색상과 간결한 아이콘, 직관적인 레이아웃으로 구성되어 시각적 혼란을 줄입니다.이 스타일은 특히.. 2025. 7. 13.
디자이너를 위한 디자인 역사 (포트폴리오 팁, 사례 분석, 명언) 디자이너로서 더 나은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단지 기술만이 아니라 ‘디자인이 어떻게 발전해왔는가’를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디자인의 역사적 흐름을 이해하면 자신만의 철학과 감각을 세울 수 있으며, 이는 곧 포트폴리오의 깊이로 이어집니다. 이 글에서는 디자이너에게 꼭 필요한 디자인 역사 지식과 함께, 포트폴리오 구성 팁, 실제 사례 분석, 영감을 주는 디자이너 명언까지 담았습니다. 1. 디자인 역사, 디자이너가 꼭 알아야 하는 이유 디자인 역사는 단순한 과거의 기록이 아닙니다. 디자이너로서 ‘왜 이런 형태가 사용되는가’, ‘어떤 철학이 지금의 제품을 만들었는가’를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배경지식입니다. 예를 들어, 20세기 초 바우하우스 운동은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Form follows fun.. 2025. 7. 1.
디자이너가 기억해야 할 디자인 명언 4선 짧지만 강력한 문장 하나가 디자이너의 사고를 전환시키고, 프로젝트의 방향을 다시 잡아주는 힘이 있습니다. 디자인 명언은 수십 년의 실무 경험과 철학이 집약된 지침서와도 같습니다. 이 글에서는 전설적인 디자이너들의 대표 명언 4가지를 해석하고, 실무와 교육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디자인 감각을 키우고 싶거나, 철학적 기준이 필요할 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1. “Less, but better.” – 디터 람스디터 람스는 독일 브라운(Braun)에서 활동하며, 현대 산업디자인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입니다."Less, but better"는 ‘단순하게 만들라’는 말처럼 들리지만, 실제로는 복잡한 기능 속에서 핵심만을 남기라는 깊은 메시지입니다. 적용 예시UI/UX 설계.. 2025. 7.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