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시스템 프롬프트 (토큰, 컴포넌트, 상태)
이 글은 생성형 AI를 활용해 디자인 시스템의 핵심 산출물인 토큰, 컴포넌트 정의, 상태 표를 한 번에 뽑아내는 프롬프트 구조를 정리한다. 목표는 팀마다 다른 용어와 형식을 프롬프트 단계에서 표준화해 재작업을 줄이고, 변수 변경과 상태 정의를 빠르게 문서화하는 것이다. 각 소제목은 개념과 특징, 장단점, 적용 예시, 주의점을 한 문단 안에서 이어가며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토큰 설계 프롬프트토큰 프롬프트의 핵심은 컬렉션, 네이밍, 모드 축을 먼저 고정하는 것이다. 컬렉션은 foundations, component, brand처럼 목적 중심으로 나누고, 네이밍은 의미 기반 계층을 유지한다. 색은 brand.primary.fg, 배경은 surface.card.bg처럼 읽는 순간 역할과 단계가..
2025. 8. 20.
Figma 팀 협업 가이드 (변수, 컴포넌트, 버전관리)
팀 규모가 커질수록 Figma 협업은 개인의 감 이 아니라 공유된 규칙 이 좌우합니다. 이 글은 변수로 토큰을 표준화하고, 컴포넌트를 구조적으로 설계하며, 브랜치 리뷰 릴리즈로 버전 관리를 체계화하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목표는 충돌을 줄이고, 재사용도를 높이며, 디자인 개발 간 사양 전달을 예측 가능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각 항목은 개념, 운용 포인트, 장단점, 실무 예시, 주의점 순으로 서술됩니다.변수 설계: 토큰, 모드, 테마변수는 팀의 디자인 언어를 수치로 고정하는 장치다. 먼저 색상, 간격, 반경, 그림자, 크기 같은 토큰을 정하고 컬렉션을 목적별로 나눈다. 예를 들어 기본 규칙은 foundations, 컴포넌트에 귀속된 값은 component, 브랜드 특화 값은 brand처럼 분리한다. 이름은 ..
2025. 8.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