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협업3 직장인을 위한 생산성 앱 추천 BEST 10 (업무관리, 시간절약, 협업툴) 일 잘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도구’를 잘 활용한다는 점입니다.반복되는 업무에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면 지금이 바로 생산성 앱을 활용할 때!이번 글에서는 직장인들이 실무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생산성 앱 10가지를 소개합니다. 1. Notion – 올인원 정보 정리 도구문서, 할 일 목록, 캘린더, 데이터베이스까지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는 노션은팀과 개인 모두를 위한 디지털 작업 공간입니다.특히 템플릿 활용이나 위키 구성에 강해, 반복적인 문서작업을 줄이고 협업 효율을 높여줍니다.웹/앱 어디서든 동기화가 가능해 출퇴근 중에도 업무 내용을 정리할 수 있어요.요즘은 UX디자이너나 마케터들도 포트폴리오 및 회의록을 위해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2. Trello – 시각화된 프로젝트 보드카드 형식으로 할 일을 .. 2025. 7. 16. 요즘 디자이너들이 주목하는 디자인 툴 (프로토타이핑, 협업, 트렌드) 디자인 업계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그에 발맞춰 툴도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과거엔 포토샵이 전부였다면, 이제는 UI/UX 설계, 실시간 협업, 피드백까지 가능한 도구들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디자이너들이 최근 주목하고 있는 디자인 툴들을 유형별로 정리해보겠습니다. 프로토타이핑에 특화된 툴디자인 작업에서 아이디어를 빠르게 시각화하고 테스트하는 과정은 필수입니다. 이런 과정에서 프로토타이핑 툴의 중요성이 커졌습니다. 그중 가장 주목받는 툴은 Figma입니다.Figma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실시간 협업이 가능하고, 다양한 플러그인과 커뮤니티 리소스를 제공해 작업 효율성을 높여줍니다. 스케치도 여전히 사용되지만, 맥에서만 사용 가능한 제약이 있어 크로스 플랫폼에서는 Figma가 우위를 점합니다.또.. 2025. 7. 13. 디자인 시스템 구축 단계별 핵심 요소 정리 디자인 시스템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디지털 제품의 필수 인프라입니다. 일관성 있는 UI/UX를 제공하고, 협업 효율을 높이며, 브랜드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하죠. 하지만 막상 구축하려 하면 막막한 것도 사실입니다. 이 글에서는 디자인 시스템 구축 시 반드시 거쳐야 할 단계와 핵심 요소를 2025년 실무 기준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디자인 원칙 수립 – 일관된 판단 기준부터 만들기디자인 시스템의 시작은 단순한 UI 요소 나열이 아닙니다. 먼저 디자인 철학과 원칙을 정리해야, 이후 컴포넌트나 스타일을 통합적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 이 단계에서 포함될 요소: 브랜드 톤 & 무드 정의 (Tone & Mood)접근성 철학 (예: 모든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도록)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위한 UX.. 2025. 7.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