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디자인 vs 제품 디자인 (개념, 차이와 공통점, 협업, 공부)
디자인이라는 단어는 우리 일상 속에서 흔하게 쓰이지만, 그 속에는 수많은 세부 분야가 존재합니다. 그 중에서도 산업 디자인(Industrial Design)과 제품 디자인(Product Design)은 자주 혼동되며, 심지어 디자인 업계 내에서도 경계가 모호하게 쓰이곤 합니다.하지만 이 두 용어는 단순히 표현 방식의 차이가 아니라,기획의 범위, 접근의 깊이, 실무의 역할 등에서 명확한 차이가 존재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산업 디자인과 제품 디자인의 정의, 기능, 협업 방식, 그리고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두 분야의 본질적인 차이와 연결점을 깊이 있게 분석합니다.디자인 전공자, 제품 디자이너를 꿈꾸는 취준생, 창업을 준비 중인 예비 대표님이라면 반드시 이해해야 할 핵심 내용만 정리했습니다.산업 디자인이란 무엇인..
2025. 7. 17.
실무자들이 자주 쓰는 3D 프로그램 (Blender, Cinema 4D, SketchUp, Rhino)
3D 디자인은 이제 단순한 시각화 단계에 머무르지 않고 제품 개발, 건축 설계, 인테리어, 영상 제작, 가상 공간 구현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특히 실무에서는 프로젝트의 성격과 목적에 따라 적합한 툴을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잘 맞는 툴을 사용하면 작업 속도와 품질을 동시에 높일 수 있고, 반대로 맞지 않는 툴을 선택하면 불필요한 시간과 자원이 낭비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현업에서 특히 많이 사용되는 네 가지 대표 툴, Blender, Cinema 4D, SketchUp, Rhino를 비교하며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 그리고 적합한 활용 분야를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Blender: 무료지만 전문가용 기능까지 제공하는 강력한 툴Blender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알..
2025. 7. 12.
시제품 제작의 A to Z 완전 정리 (계획, 디자인, 제조)
아이디어를 제품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시제품은 단순한 모형이 아니라 가설을 검증하는 실험 장치다. 이 글은 기획부터 디자인, 실제 제작과 검증까지 전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해 시행착오를 줄이고 의사결정을 빠르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창업자와 디자이너, 메이커가 공통으로 겪는 문제를 중심으로 체크포인트를 제시하며, 각 단계는 개념 설명 뒤에 장단점, 적용 예시, 주의점을 이어서 다룬다. 단계 간 연결은 유기적이므로 이전 단계의 산출물이 다음 단계의 입력이 된다는 점을 항상 염두에 두자. 이렇게 흐름을 고정하면 예산과 일정의 불확실성이 크게 낮아진다.기획 단계 문제정의, 고객, 요구사항시제품의 출발점은 문제정의와 타깃 고객의 명확화다. 해결하려는 문제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어떤 상황에서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
2025. 7. 11.